도커 기본 명령어
도커를 사용하면서 제가 주로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입니다.
도커 관련 기본 명령
- sudo docker pull 이미지명
- sudo docker run -v 볼륨명:경로(/app) -n 컨테이너이름 -p 외부포트:내부포트 -e POSTGRES_PASSWORD = 비밀번호
- sudo docker attach 컨테이너이름
- sudo docker exec -it 컨테이너이름 /bin/bash
도커 볼륨 관련 기본 명령
- sudo docker volume create 이름
- sudo docker volume ls
- sudo docker volume inspect 볼륨명
도커 볼륨, 리눅스 관련
- 볼륨 마운트나 바인드 마운트가 컨테이너 안에 로컬 공간의 파일을 입력하는 것은 같다
- 바인트 마운트는 그냥 로컬의 파일을 컨테이너안에 넣는것이고
- 볼륨 마운트는 도커가 관리하는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서 마운트 시키는 것이다.
- 리눅스 파일 개수 명령어 find . -type f | wc -l
'프로그래밍사업 > 도커(docker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stJS, Docker] 네스트 프로젝트 도커(시놀로지)로 배포하기 (0) | 2024.12.17 |
---|---|
[스프링, 도커] 도커로 스프링 배포하기 (0) | 2022.11.23 |
도커파일 사용법 - 도커를 이용한 FastAPI 서버 구축 방법 관련 정리 (0) | 2021.11.18 |
[docker, PostgreSQL ] GCP에 Docker Postgresql 세팅하기 (0) | 2021.10.06 |
[docker 예제] 도커를 활용한 우분투(ubuntu 20.04.1) 환경 구축부터 셀레니움(selenium)을 활용한 크롬드라이버 헤드리스( (0) | 2020.12.27 |
댓글